테이퍼링의 사전적 의미는 "점점 더 가늘어지다"이다. 의료 분야에서 약제를 점진적으로 줄여나갈 때나 마라톤에서 경기 날짜에 맞춰 훈련 강도를 낮출 때와 같은 상황에서 주로 사용되던 단어이다.
경제 분야에서 '테이퍼링'이 처음 언급된 것은 2013년 미국연방준비제도(Fed)의 벤 버냉키 의장에 의해서인데, 의회 증언 도중에 이 용어를 사용하면서 유명해지게 되었다. 이후 테이퍼링은 통화량의 양적완화를 점진적으로 축소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뜻으로 통용되어 왔다.
양적완화(QE)가 경기 부양을 이끄는 원리
양적완화(QE, Quatitative Easing)란 기준금리가 0%에 근접하고 있으나 경기가 회복되지 않아, 중앙은행이 직접 국채/민간채권을 매입함으로써 통화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중앙은행이 채권을 매입하게 되면 이에 대한 수요 증가가 일어나게 되고, 그 결과 채권의 가격 상승을 유발한다. 이는 채권 이자율의 상대적 감소를 초래하고 이에 따라 전체적인 금리가 내려감으로써 경기를 활성화시킨다. 쉽게 말해, 채권 매입으로 인해 중앙은행의 현금이 시장으로 유통되어 경제가 활발해진다고 이해하면 된다. (추가 설명은 아래의 게시물을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