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시점이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은 얼마나 될까?

많은 사람들은 주식을 싸게 사서, 비싸게 팔고 싶어한다.

최고로 높은 가격에 팔지는 못하더라도, 속칭 '고점에 물리는' 상황은 피하고 싶은 마음이 드는 것은 수익률을 고려한다면 당연한 이야기일 것이다.

미국의 증권 중개업체인 슈와브 금융센터(Schwab Center for Financial Research)에서는 한가지 재미있는 실험을 하였다. 1993년부터 20년 동안 매년 동일한 현금을 투자하였을 때, 투자 시점에 따른 수익률의 변화에 대해 연구한 실험이다.

오늘은 이 연구를 조금 더 현실감 있게 응용하여 몇몇 결론을 도출해보고자 한다. 실험을 위해 다음과 같은 상황을 가정해보겠다.

1) 연구기간은 2000년부터 2020년까지로 설정한다
2) 매년 $1000씩 2020년까지 투자를 한다
3) 아래와 같은 가상의 인물이 있다고 가정한다
   A : 매년 주가가 가장 낮은 날에 모든 주식을 매수
   B : 매년 주가가 가장 높은 날에 모든 주식을 매수
    C : 매년 모든 투자금을 은행에만 예치

위의 설정에 따른 A, B, C 세 투자자들의 수익률 차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원활한 비교를 위해 대표적 우상향 주식인 마이크로소프트를 예로 들어보자.

마이크로소프트(MSFT)의 연도별 최고가와 최저가

위의 도표는 해당 연도별 마이크로소프트 주가의 최고가와 최저가를 나타낸 표이다. 해당 기간 각각의 투자자 A, B, C가 위의 가정대로 투자를 진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계산 결과에 오차가 있을 수 있음을 고려 바란다)

A : 총 755.19주 매입
     자산가치 약 $196,266 (2021.06.14 주가 기준)
     순수익 $175,266 (누적 수익률 약 835%)
B : 총 502.61주 매입
     자산가치 약 $130,623 (2021.06.14 주가 기준)
     순수익 $109,623 (누적 수익률 약 522%)
C : 해당 기간의 연도별 미국 연방기금금리를 적용
     자산가치 약 $23,925
     순수익 $2,925 (누적 수익률 약 14%)

각 투자자별 최종 자산가치

우선, 매년 저점 매수만 시행했던 투자의 달인 A고점 매수만 하게 된 불운의 아이콘 B의 결과를 비교해보면 예상대로 A의 수익률과 자산가치가 B와 비교하여 모두 높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우리가 위 실험에서 눈여겨 볼 것은 A와 B의 단순 비교가 아닌, 투자자 C의 결과이다. 은행에만 매년 일정 금액을 적립한 C의 경우 20여년이 지난 후에는 수익률과 총 자산가치 모든 면에 있어서 A와 B에 비교하여 크게 뒤쳐져 있었다. A와 B 사이의 수익률 격차는 각각을 C와의 격차와 비교해보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의 대상 기업을 마이크로소프트가 아닌 애플(AAPL) 혹은 존슨앤드존슨(JNJ)과 같이 장기간 우상향하는 다른 주식으로 바꾸어도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번 실험을 통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교훈을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다.

1. 좋은 기업의 주식을 매수한다면, 장기적으로는 투자
    시점과 무관하게 시장에 참여하는 것만으로도 높은
    수익률을 기대해 볼 수 있다
2. 투자에 있어 가장 큰 위험은 시장에 전혀 참여를 하지
    않는 것에 있다

1996년부터 2015년에 이르기까지 S&P500 지수는 연 평균 약 8.2%의 상승을 기록했다. 이 20년 동안 최고거래일 10일을 놓쳤을 경우 수익률은 4.5%, 최고거래일 20일을 놓쳤을 경우 수익률은 2.1%로 급락한다고 한다. 즉, 시장에 꾸준히 참여하고 있어야만 이러한 최고거래일을 놓치지 않을 수 있으며 수익률 또한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고점에 물리는 것이 두려워 시장에 참여하는 것 자체를 포기한다면, 우리는 결코 경제적 자유를 누릴 수 없을 것이다. 풍요로운 노후 생활을 위해 적극적으로 시장에 임하는 자세를 갖길 바란다.

"슛을 하지 않으면 모든 골을 놓친 것이다"

- 웨인 그레츠키, 아이스하키의 전설적인 선수

* 본 게시물은 투자종목 추천과 무관한 개인적 견해이며, 이를 활용하여 발생한 매매의 모든 수익과 손실에 대한 책임은 매매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메타버스(Metaverse) 관련 미국 주식에는 무엇이 있을까?

최근 AR/VR 관련 기술의 발전과 함께 많은 사람들이 메타버스(Metaverse)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다.

우선, 메타버스와 AR 및 VR이란 단어가 아직 낯선 사람이라면 아래의 게시물을 먼저 읽고 오길 바란다.

[타임머신] 메타버스(Metaverse)가 만드는 미래의 모습 (ft. AR & VR) - https://investingnote.tistory.com/m/41

[타임머신] 메타버스(Metaverse)가 만드는 미래의 모습 (ft. AR & VR)

[타임머신]에서는 미래의 유망 섹터가 될 것으로 판단되는 분야에 대한 필자의 개인적 고찰을 담은 글을 게시합니다 영화 '레디 플레이어 원(2018, 스티븐 스필버그)'을 보았는가? 자유롭게 꾸밀

investingnote.tistory.com


그렇다면 메타버스와 관련된 미국 주식에는 무엇이 있을까? 오늘은 이에 대해 몇가지 기업을 소개하고자 한다.

1. 페이스북(Facebook, FB)

SNS로 큰 성공을 거두었던 페이스북의 CEO 마크 주커버그는 향후 미래 시장을 선도할 분야로 메타버스를 지목하였고, 이이 따라 2014년 VR기기 제작업체인 오큘러스(Oculus)를 인수하였다. 과감한 투자를 지속한 끝에 페이스북은 2019년, 가상현실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인 호라이즌(Horizon) 서비스를 선보인다. 또한, AR/VR 영역의 확대를 위해 컨트롤러 없이 손 동작만으로 조작할 수 있는 기술인 '핸드 트랙킹' 시스템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다. 아직까지 메타버스 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뚜렷한 기업이 없는 난전 속에서, 대대적인 투자로 그 결과물을 내놓기 시작하는 페이스북을 우리는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페이스북의 VR 기반 소셜 네트워크, 호라이즌(Horizon)

2. 줌(Zoom Video Communication, ZM)

2019년 시작된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여파로 많은 사람들이 원격회의를 경험하였다. 이러한 현상으로 가장 큰 주목을 받은 기업은 '줌'이다. 줌은 비디오를 기반으로 한 원격 커뮤니케이션에 있어 이미 많은 지분을 갖고 있다. 아직까진 디지털 세게를 구축하는 것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지는 않지만, 현재 선점하고 있는 원격회의 시스템을 기반으로 메타버스 시장에 뛰어든다면 미래에도 이 영역을 리드하는 역할을 자처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화상회의의 선두주자, 줌(Zoom)

3. 로블록스(Roblox, RBLX)

글로벌 게임 제작 및 유통 업체인 로블록스는 3차원의 가상세계에서 아바타로 구현된 개개인이 다양한 방식으로 소통하고, 직접 게임도 제작할 수도 있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이다. 월간 활성 이용자가 1억 6600만명을 상회하는 이 게임은 디지털화 된 가상세계 속에서 다른 사용자와 소통을 하고, 돈을 벌며 업무를 하는 등 현실 세계의 연장선에 있다는 점에서 메타버스의 정의에 정확히 들어 맞는다. 실시간 컨텐츠 시장이 점차 확장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 속에서, 향후 로블록스의 행보는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온라인 게임 플랫폼, 로블록스(Roblox)

위에서 소개한 기업들 외에도 유니티(U), 마이크로소프트(MSFT), 애플(AAPL), 코핀(KOPN), 뷰직스(VUZI) 등 메타버스와 관련된 서비스 혹은 장비의 개발을 진행 중인 회사들이 여럿 존재한다. 앞으로 점점 더 확장될 메타버스 시장에 투자를 함으로써, 그 파이를 함께 공유할 수 있게 되길 기대해본다.

* 본 게시물은 투자종목 추천과 무관한 개인적 견해이며, 이를 활용하여 발생한 매매의 모든 수익과 손실에 대한 책임은 매매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중간점검] 존슨앤드존슨 전망 (JNJ, 2021.06)

Notes 2021. 6. 9. 11:32 Posted by 스톡holm

[중간점검]은 일정 기간마다 현재 투자하고 있는 기업을 재평가하여 그 기업에 투자를 유지하는 것이 옳은지 최근 실적과 이슈를 통해 자가 점검을 시행하는 게시물 입니다.

Johnson & Johnson, JNJ


존슨앤드존슨의 6월 배당금이 입금 되었다.

무려 50년 이상 배당금을 증가시키며, '배당킹' 반열에 오른 대표적 우상향 배당주인 존슨앤드존슨은 6월에 접어들며 지속적인 주가 하락을 거듭하고 있다.

JNJ의 얀센 백신이 FDA의 승인을 받아 상용화되고 있는 호재 속에서도 주가가 떨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선, 의료분야 섹터의 전반적인 흐름이 하락 중에 있다. 의료기기 1위 업체인 메드트로닉(MDT)과 대표적인 헬스케어 업체인 애보트(ABT)를 비롯하여 많은 의료 기업들의 주가가 하락 중인 사이클에 속해 있다. 코로나 여파로 그동안 억눌려 있던 소비 욕구가, 백신의 보급과 함께 해소되기 시작하며 전반적인 자금의 이동이 불러 일으킨 단기적인 효과로 판단된다.

둘째로, 존슨앤드존슨의 최근 이슈와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사건은 2018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JNJ의 대표적인 상품인 베이비파우더를 비롯하여 몇몇 제품에 포함된 활석 성분 중 석면으로 인해 암이 발생했다고 주장하는 소송에서 존슨앤드존슨이 패소하며 시작되었다. 이후 이 사건은 2심을 거쳐 최근 대법원까지 항소하며 올라왔으나, 배상 규모만 낮아졌을 뿐 판결은 결국 뒤집히지 않았다. (아래의 기사를 참조 바란다)

존슨앤드존슨 '2조원 배상' 발암 소송 패소…미 대법원 명령 | 연합뉴스

(워싱턴=연합뉴스) 임주영 특파원 = 미국 건강용품업체 존슨앤드존슨(J&J)이 자사 제품을 사용하다가 암에 걸렸다고 주장한 이들에게 2조...

www.yna.co.kr

대법원의 해당 판결이 주가 하락에도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여진다.

위에서 제시한 일련의 이유에도 불구하고, 나는 아래의 근거들로 존슨앤드존슨 투자를 지속하고자 한다.

1. 미래의 핵심 분야, 헬스케어
존슨앤드존슨은 부정할 수 없는 미국의 대표적인 제약/의료기기 기업이다. 또한, 최근에는 '다빈치 수술'로 유명한 인튜이티브서지컬(ISRG), 거대 의료기기 업체인 메드트로닉(MDT)과 함께 로봇수술 영역으로도 진출하려는 긍정적인 움직임도 보이고 있다.
인류의 평균 수명이 증가하고 저출산으로 인해 고령화 시대에 접어들며, 만성질환자의 치료에 대한 의료비 지출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상황 속에서, 헬스케어 분야의 대표격인 JNJ가 로봇수술과 같은 미래 지향적 분야로도 사업을 확장한다면 앞으로 더욱 각광을 받을 수 밖에 없다.

2. 효율적인 영업실적과 배당주의 매력
최근 10여년 간, 존슨앤드존슨의 실적을 요약하면 아래의 도표와 같다. 위에서 살펴본 베이비파우더 사태가 있던 2018년을 제외하곤,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12개월간의 순수익과 충분한 자기자본(총자산-부채) 확보 및 꾸준하게 유지되고 있는 ROE를 확인할 수 있다.

JNJ, by Macrotrends

재무적으로 건전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JNJ는 50년 이상 배당금을 인상하여 지급한 대표적인 배당주이기도 하기에 지속적으로 투자할 대상으로서 매우 매력적인 기업이다.

3. 의료 업계의 폐쇄적인 특성
의료 분야는 초기 투자 비용이 많이 들고, 수많은 노하우가 결집 되어야 성공할 수 있는 영역이다. 이러한 이유로 다른 분야에 비해 비교적 폐쇄적인 의료 업계의 특성상, 새롭게 강력한 경쟁 업체가 등장하여 헬스케어 시장을 뒤흔들어 놓을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된다. 즉, 현재 헬스케어 섹터를 선도하고 있는 기업들이 미래에도 지속적으로 이 분야를 이끌어나갈 것으로 보여진다.

필자는 위와 같은 이유들로 현재의 주가하락과 관계 없이 JNJ의 투자를 지속하려고 한다. 주가가 낮은 현시점을 '바겐 세일' 기간이라 생각하며 매수해나갈 생각이다.

이 글을 읽는 여러분도, 본인만의 원칙과 분석으로 성공적인 투자를 하길 바란다.

참고해보면 좋을 동영상
https://youtu.be/4arXIw4h8Q4

* 본 게시물은 투자종목 추천과 무관한 개인적 견해이며, 이를 활용하여 발생한 매매의 모든 수익과 손실에 대한 책임은 매매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No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개용] 2021.06 간략 결산  (13) 2023.09.09
[중간점검] 쓰리엠 전망 (MMM, 2021.06)  (2) 2021.06.16
[공개용] 2021.05 간략 결산  (3) 2021.06.01

좋은 주식이란 무엇일까?

해당 내용을 정의하기엔 정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안정적인 수익률을 지속적으로 올린다는 조건을 빼놓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어떤 주식을 사야하는지에 대해서 되짚어보고 싶다면 아래의 게시물을 참조 바란다.

어떤 주식을 사야할까? (ft. ETF) - https://investingnote.tistory.com/m/14

어떤 주식을 사야할까? (ft. ETF)

무슨 주식을 사야 오를까? 많은 투자자들이 항상 하게 되는 고민이다. 우량주/배당주, 가치주/성장주, 테마주/대선주 등 많은 카테고리가 존재하는 가운데, 투자를 이제 막 시작하여 본인만의 경

investingnote.tistory.com


하지만 좋은 종목을 선별하여 지속적으로 추적하는 일은 바쁜 현대인에게 있어서 어려움이 많을 것이다. 이것을 해결하는 방법은? 위에서도 소개했듯이 ETF가 그 대안이 될 수 있겠다.

ETF(상장지수펀드)란, Exchange Traded Fund의 줄임말로 주가지수나 채권지수 등 특정 지수를 추종하는 상장개방형펀드를 의미한다. 쉽게 말해서, 여러 종목을 묶어 놓은 꾸러미를 주식의 형태로 한번에 사모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ETF 투자의 가장 큰 장점은 편리함에 있다. 일반 투자자들이 재무제표 분석이나, 기업 가치를 따지는 일 등을 하지 않고도 손쉽게 투자를 할 수 있도록 도와 본업에 충실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많은 종목으로 구성된(최소 10종목 이상) ETF의 특성상 투자하는 그 자체로 분산 투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물론, ETF 투자는 운용사에 수수료를 내야하고 해외 상장 ETF의 경우 배당소득세(15.4%)와 양도소득세(연 총수익금이 250만원 이상인 경우 22%)가 부과되는 단점이 있다.

장기투자에 적합한 ETF에는 무엇이 있을까?

오늘은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ETF 투자가 매력적으로 느껴지는 당신에게 장기적으로 투자하기 좋은 몇가지 종목을 소개하고자 한다.

1) VTI

운용사 : Vanguard
상장일 : 2001.05.31
수수료 : 0.03%
순자산 : $243,432,453,700 (2021.06.03 기준)

시가총액 규모와 상관없이 미국(뉴욕,나스닥)에 상장된 모든 종목을 대상으로 산출한 지수를 추종하는 ETF이다. 쉽게 말해, 미국 시장 전체를 대변하는 종목으로 이해하면 되겠다.

출처 : 모바일증권 나무
출처 : 야후 파이낸스

20년에 걸쳐 우상향하고 있는 대표적인 ETF이다. 아래에서 소개할 VOO와 비교하여, S&P500에 해당되지 않는 성장 가능성이 유망한 기업들도 포함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른 지수를 추종하는 ETF와 비교하였을때 주요 top 10 종목의 비율(약 22%)이 상대적으로 낮아 분산투자의 효과가 더 증대되는 점도 투자시 참고하길 바란다.

2) VOO

운용사 : Vanguard
상장일 : 2010.09.09
수수료 : 0.03%
순자산 : $225,109,086,150 (2021.06.03 기준)

전세계 3대 신용평가 기관 중 하나인 미국의 스탠더드 앤 푸어사(Standard & Poors)가 기업 규모와 산업의 대표성 등을 고려해서 선정한 미국 보통주 500개 종목을 기준으로 산출해낸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이다. 짧게 말해, 미국 대표기업 500개를 묶은 종목으로 이해하면 되겠다.

출처 : 모바일증권 나무
출처 : 야후 파이낸스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대표적 ETF에는 VOO 외에도 SPY, VVI가 존재한다. 이 중에서 필자는 운용료가 가장 저렴한 VOO가 적립식으로 모아나가는 장기투자에 가장 적합하다 생각한다. 세 ETF에 대한 비교는 아래의 다른 블로그 게시물을 참고 바란다.

https://m.blog.naver.com/llbohyunll/221944668718

미국 ETF 비교 정리 (SPY, IVV, VOO)

개별주식보다 우량주들을 모두 취합하여 안정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ETF 미국주식 ETF ...

blog.naver.com


3) QQQ

운용사 : PowerShares
상장일 : 1999.03.10
수수료 : 0.2%
순자산 : $161,951,328,000 (2021.06.04 기준)

나스닥에 상장된 대표기업의 보통주 100개를 기준으로 산출된 나스닥100 지수를 추종하는 ETF이다. 투자 종목이 기술분야에 집중되어 있다는 것이 특징적이다.

출처 : 모바일증권 나무
출처 : 야후 파이낸스

기술주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2020년에 들어서 큰 폭의 상승률을 보이고 있다. VTI와 VOO에 비해서 높은 운용료와 주가의 변동폭이 비교적 크다는 특징이 있으므로, 투자 시 인지하고 있길 바란다.

4) VNQ

운용사 : Vanguard
상장일 : 2004.09.29
수수료 : 0.12%
순자산 : $41,183,187,480 (2021.06.03 기준)

투자자들에게서 자금을 모아 부동산에 투자하는 리츠(REITs) 상품 중 미국 ETF에서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한다.

출처 : 모바일증권 나무
출처 : 야후 파이낸스

리츠 상품의 특성상 ETF 치고는 비교적 높은 시가배당률(2%이상)을 가지는 것이 장점이며 대체로 우상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앞서 말한 세가지 ETF와 비교하면 가장 변동성이 큰 주가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급락했던 사례로 미루어 투자시 어느정도 주의가 필요하다.

오늘은 장기적으로 우상향하여 안정적으로 투자할만한 몇가지 ETF들을 살펴보았다. 과거의 기록들이 미래를 보장하란 법은 없지만, 위 네가지 ETF들은 안정성을 추구하는 투자자들에게 충분히 매력적인 상품일 것이라 생각한다.

* 본 게시물은 투자종목 추천과 무관한 개인적 견해이며, 이를 활용하여 발생한 매매의 모든 수익과 손실에 대한 책임은 매매자 본인에게 있습니다